부모급여 신청 방법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부모급여의 간략한 소개와 대상자 및 신청 방법부모 급여 지급 시기를 총정리했습니다. 저출산 문제와 한부모가정의 경제적인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정부는 여러므로 지원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출산지원금이나 육아휴직수당, 양육수당 등등 그 중 하나가 바로 한부모가족 지원입니다. 부모급여 신청 방법과 함께 알아야 할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지원방법과 절차를 안내드립니다.



부모급여 신청 방법 및 지급시기

부모급여 신청 방법

안녕하세요! 부모급여 신청 방법을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올해부터 처음으로 부모가 되면 정부나 지자체에서 ‘부모급여’라는 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출산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우리나라, 요즘 주변에 어린아이 구경하기 진짜 힘들죠? 아이들이 뛰어노는 소리나 웃는 소리는 완전히 사라지고 고령의 노인들과 1인 가구들로 이루어진 아파트가 빠르게 늘고 있답니다. 특히 2023년은 더 심각한데 마침 정부에서 발 빠르게 부모급여라는 제도를 내놓았습니다.

읽어보시고 해당 사항이 있거나 주변의 지인들에게 널리 알려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2022년 이후부터 적용이 된다고 합니다. 열심히 낸 세금 부모급여로 되돌려준다고 하니, 잊지 마세요. 그럼 지금부터 부모급여 신청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1월부터 돌봄이 집중적으로 필요한 영유아를 가정에서 맘 편히 돌볼 수 있도록 부모급여를 지급합니다.

부모급여란?

부모급여는 출산이나 양육하는 가정에 양육자가 아이와 함께 행복한 시간을 보장하고, 재정적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도입한다. (2022년 이후 출생아부터 적용하며 22년 도입된 영아수당 지급계획과 동일하다.)

년도0세만 1세
2023년70만원35만원
2024년100만원50만원
<부모급여 지원금>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는 만 0세와 만 1세 모두 514,000원의 보육료 바우처가 지급된다. 단 만 0세는 부모급여 70만원이 보육료 바우처 지원금 금액보다 커서 차액 186,000원만 현금으로 지급된다.

또한 지역별로 임신하게 되면 출산장려금이 지원됩니다.

부모급여 신청 방법

부모급여를 처음 받으려면 자녀가 태어난 날을 포함해 60일 이내에 부모급여를 신청해야 한다.

만 60일 이내 신청은 생년월일이 속한 달부터 소급 지원되지만, 만 60일 이후 신청하면 신청 일이 속한 달부터 받을 수 있어 신중하게 신청해야 한다.

부모급여는 아동이 주민등록상에 있는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거나 복지로(www.bokjiro.go.kr) 또는 정부24(www.gov.kr)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

부모가 방문 신청하면 주소지와 상관없이 전국 주민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다.

온라인 신청은 보호자가 친부모일 경우에만 가능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방문 신청은 복지(www.bokjiro.go.kr) → 서비스 신청 → 복지서비스 신청 → 복지혜택 신청 등이 필요하다

또한, 정부24에서 원스톱 행복 출산 서비스를 통해 출생신고와 함께 부모급여를 신청할 수 있다.

(온라인) 대법원 온라인 출생신고 → ‘행복 출산 원스톱 서비스’에 자동 연동해 일괄 신청할 수 있다.
(주민센터 방문) 출생신고서 제출 시 1차 회의 바우처, 아동수당, 부모급여 신청서를 제출한다.

부모급여 지급 방법 및 시기

부모급여는 2022년 1월 25일(수)부터 적용되는 계좌로 매월 25일 입금됩니다. 신청이 지연돼 해당 달 25일 신청받지 못하면 다음 달 25일 신청한 달의 부모 혜택을 함께 받게 된다.

어린이집 이용의 경우 부모급여 도입에 따른 현장의 불편이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바우처를 받는다. 육아 바우처는 이달 초부터 제공되며 바우처 지원금액은 어린이집 이용 시 국민행복카드를 이용해 지급할 수 있다.

다만 0세 아동이 어린이집을 이용할 경우 부모급여 지원액이 바우처 지원액보다 많아 매달 25일 신청한 계좌에 차액이 입금됩니다.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만 0세 아동은 부모 혜택 70만원을 받게 되며, 보육 바우처는 514,000, 현금은 186,000원이다.

관련 글 함께 보기

차상위계층  | 저소득가구  | 조건  | 대상자  | 신청 방법  | 지원혜택 바로가기

한부모가족 | 조손가족 |  기준 |  지원금신청 |  혜택알아보기 – 한부모가정  | 차상위 계층  | 지원 알아보기


부모수당 중복

부모수당은 어린이집 보육료와 중복 지원되지 않는 지원금입니다.

해당 연령의 아동이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 지급 금액에서 어린이집 보육료를 차감한 나머지 금액이 지급됩니다. 예를 들자면 만 0세 아동이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 보육료 50만원을 차감한 나머지 금액인 20만원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만 1세 아동이 어린이집을 이용할 경우 부모급여 금액이 보육료보다 적으므로 부모급여를 지급하지 않습니다. 부모급여를 지급받기 위해서는 출산 예정인 가정에서 ‘행복출산 원스톱서비스’에 출생신고를 한 후 부모급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복지로 사이트에서도 지원금 신청이 가능하기 때문에 함께 살펴볼 수 있습니다.

정부 24> 행복원스톱서비스 검색


부모급여 Q&A

부모 혜택을 받으면서 어린이집에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전국의 주민센터와 복지로.정부24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전액 현금으로 지급되던 부모급여를 육아 바우처로 부모급여로 전환할 수 있다. 특히 만 1세 아동이 어린이집에 새로 등록할 경우 보육료 바우처(514,000)가 현금 부모급여액 보다. 크기 때문에 급여 변경 신청을 하는 것이 좋다.

만 0세인 사람도 보육권이 아닌 현금으로 어린이집 비용을 결제할 경우 514,000원 이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급여를 변경하는 것이 좋다. “

어린이집을 다니다가 그만두면 부모급여를 새로 신청해야 하나요?

어린이집을 나온 뒤 부모급여 현금화를 위해 변경 신청을 해야 한다. 급여 변경은 어린이집이 아닌 전국 주민센터, 복지로, 정부 24개 홈페이지에서 해야 한다.

부모급여 신청 방법

기대효과

육아휴직을 쓸 수 없거나 육아휴직 급여가 부족한 부모에게 부모급여는 자녀와 함께 보낼 수 있는 시간과 비용을 지원한다. 부모가 직접 양육할 수 없는 경우에도 가족·친척 등 돌봄 인력의 지원을 받거나, 어린이집을 이용할 수 있도록 부모급여로 종합적으로 지원한다.

ex 사례 1) 육아휴직을 고민하던 A씨(남).

직장인 A씨(남)는 내년 4월 둘째 아이가 태어나면 육아휴직을 신청해 직접 아이를 돌볼 계획이다. 애초에 가계소득이 줄어들까봐 걱정했는데, 육아휴직과 월 70만원까지 받고 육아수당을 받으면 휴직을 하고 아내와 아이들과 충분한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 같다.

==> 첫 만남 티켓 200만원, 아동수당 10만원의 일시불도 매달 지급된다.

사례 2) 어린이집에 아이를 보내던 B씨.

가게를 운영하는 B씨(여)는 생후 6개월 때부터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냈다.

어린이집 선생님들이 잘 챙겨주셔서 감사하지만 보육비 부담을 안지 않을 수 없었다. 2023년부터는 어린이집에 다니는 0세 아동에게 보육료를 제외한 18만6000원이 매달 지급되기 때문에 보육료 외에도 주말에도 아이와 좋은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활용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관련안내

< 부모급여 관련 안내 >
○ 보건복지부 129, 044-202-3571/3572/3554/3557/3583/3594
○ 한국보육진흥원 콜센터 02-1661-5666
○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콜센터 1566-3232
※ 아이돌봄 지원사업에 대한 문의는 1577-2514, 02-2100-6365, 6325, 6309

정부 24시에서 모든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상 부모급여 신청 방법과 신청 대상 및 지급 시기까지 알아봤습니다. 더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2023 한부모가족, 자격, 기준, 지원혜택 알아보기


아동용품구입

2023 지역별 |  출산장려금 | 경기도 출산장려금  | 부모급여 |  신청방법 |  대상자 | 지급기간  | 자세히 |  알아보기▶

Leave a Comment